보건 정보
<쯔쯔가무시증> 자세히 알아보기
헬거니
2017. 9. 21. 10:25
반응형
<쯔쯔가무시증> 자세히 알아보기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오한, 근육통, 가피,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가을철 반드시 주의해야할 질병 중 하나다.
쯔쯔가무시병 개요
- 법정감염병(제3군) : ICD-10 A75.3
- 국내에서는 1994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었으며, 2004년 이후 연간 4-5천명 이상 발생하다가 2012년 이후 신고건수가 증가하여 2016년에는 11,105명 수준. 특
- 연중 발생이 가능하나 10월과 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
- 세계적으로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호주 북부에서 흔함
감염경로 및 잠복기
-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chigger)이 사람을 물어 전파됨
- 주요 매개체는 활순털진드기, 대잎털진드기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 활순털진드기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 대잎털진드기
- 잠복기는 1∼3주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 주요 증상은 발열, 가피, 반점상 발진, 림프절종대 및 심한 두통, 발열, 오한이 갑자기 발생하며 감기와 유사
- 발병 3-7일 후 몸통 및 사지에 반점상 발진이 나타나 1-2주일 후 소실
- 국소성 또는 전신성 림프절 종대와 비장 비대를 보임
- 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가피 형성이 특징적(진단에 중요한 임상소견)
- 팬티 속, 겨드랑이, 오금 등 피부가 겹치고 습한 부위에서 잘 발견
- 소화기, 호흡기, 중추신경계 등 다양한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음
쯔쯔가무시증 진단
- 환자 검체(혈액 등)에서 균 분리 또는 항원이나 유전자 검출
- 혈청학적 진단 : 특이 IgM 항체 양성, 회복기/급성기 IgG 항체가 4배 이상 증가
쯔쯔가무시증 치료
- 독시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 치료
- 환자격리나 접촉자 격리는 필요 없음
쯔쯔가무시증 예방
-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에 피부노출을 최소화하는 복장 착용
- 풀밭 위에 앉거나 눕지 않고 옷을 벗어두지 않기
- 작업 시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하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 신기
- 작업이나 야외활동 후 샤워을 하고, 작업복, 속옷, 양말 등을 세탁하기
국내발생현황
- 2012년 이후 매년 발생이 증가하여, 2016년에는 11,105명의 환자가 보고됨
- 2013~2016년에는 경남, 전남, 전북, 충남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활순털진드기의 매개체 분포와 일치
사망자 수는 2013년 23명, 2015년 11명, 2016년 16명, 올해 8월말 기준 3명
쯔쯔가무시증 예방 홍보 리플릿 (논촌형)
쯔쯔가무시증 예방 홍보 리플릿 (도시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