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현황 (2017.6.30 기준)

2017. 10. 9.
반응형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현황 (2017.6.30 기준)




다음은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현황(2017. 6. 30.기준)이다. 


오염지역은 검역법 제5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조 의거하여 질병관리본부장이 특별관리(검역)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한 지역이다.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감시 기간내 방문체류 또는 경유한 사람은 입국시 반드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감역법 제41조에 의거해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메르스 오염지역 (MERS)


  • 중동 :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오만, 카타르, 쿠웨이트



동물(조류)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오염지역 (Avian Influenza, H5N1, H7N9) 


  • 아시아 : 중국(25개 성. 시) - 저장성, 광둥성, 장쑤성, 푸젠성, 상하이시, 후난성, 안후이성, 산둥성, 베이징시, 허베이성, 후베이성, 장시성, 귀주성, 쓰촨성, 광시좡족, 랴오닝성, 충칭시, 허난성, 간쑤성, 티벳, 톈진시, 지린성, 산시(陝西)성, 산시(山西)성, 내몽골자치구



황열 오염지역 (Yellow fever)


  • 아프리카 :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바소우, 나이지리아, 니제르, 라이베리아, 말리, 모르타니, 베넹,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수단, 시에라리온, 앙골라, 에티오피아, 우간다,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케냐, 코트디부아르, 카메룬,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토고, 남수단


  • 아메리카 : 가이아나,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수리남,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콜롬비아, 트리니다드토바고,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프랑스령 기아나



콜레라 오염지역 (Cholera)


  • 아시아/중동 : 네팔, 예멘, 필리핀


  • 아프리카 : 가나, 베냉, 소말리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 부룬디, 남수단,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 수단, 우간다, 케냐, 에티오피아, 앙골라, 모잠비크, 말라위, 잠비아


  • 아메리카 아이티, 도미니카공화국



폴리오 오염지역 (Polio) 


  • 아시아/중동 :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 아프리카 : 나이지리아



페스트 오염지역 (Plague)


  • 아프리카 : 마다가스카르

다음은 대륙별로 구분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현황 


아프리카



아시아 / 중동




아메리카



반응형